Appearance
PARA Method for Knowledge management
🚀 PARA Method란?
- P – Projects (프로젝트): 명확한 목표와 완료 기준이 있는 작업
- A – Areas (영역): 지속적으로 책임지고 관리해야 하는 업무 영역
- R – Resources (자료): 참고 용도의 정보나 지식 자산
- A – Archives (보관함): 완료되거나 현재는 필요하지 않지만 추후 참고할 자료
👱♂️Demo template
- https://northern-gouda-def.notion.site/P-A-R-A-Method-8859d2e8bdea476d80d71b306e23f107
- https://www.notion.so/marketplace/templates/para-dashboard-224
🧠 PARA vs 기존 방식
구분 | 기존 방식 (조직 기반) | PARA 방식 (행동 기반) |
---|---|---|
분류 기준 | 부서, 회사 구조 중심 | 실제 작업과 정보 목적 중심 |
정보 접근 | 소속/업무 흐름에 의존 | 현재 해야 할 일 기준 |
협업 효율성 | 문서가 부서마다 흩어짐 | 프로젝트별 통합 가능 |
유지관리 | 오래된 자료 분류 어려움 | Archives로 자동 정리 |
민첩성 | 고정된 구조 → 느림 | 유동적 구조 → 빠름 |
🧩 PARA 폴더 구조 예시 (Notion 적용)
/PARA
├── Projects
│ └── 고객 A사 AI 데모
│ ├── 회의록.md
│ ├── 영업 요청사항.md
│ ├── 개발 계획.gsheet
│ └── 테스트 결과.pdf
├── Areas
│ ├── 서버 인프라 관리
│ ├── API 운영
│ └── 고객사 커뮤니케이션
├── Resources
│ ├── AI 모델 구조 리서치
│ ├── 경쟁사 분석
│ └── 세일즈 전략 모음
└── Archives
├── 2023년 프로젝트 완료 자료
└── 이전 제안서
🎯 PARA 방식의 주요 이점
- ✅ 행동 중심 분류: 지금 해야 할 일을 중심으로 문서 정리
- ✅ 부서 간 협업 용이: 부서에 관계없이 한 프로젝트에 자료 통합
- ✅ 자료 중복/누락 방지: 필요한 자료를 한 곳에 모아 혼선 제거
- ✅ 유연한 확장성: 팀과 업무가 늘어나도 간단히 확장 가능
- ✅ 보관함 자동화: 완료된 프로젝트는 Archive로 이동, 구조 깔끔하게 유지
🛠 PARA 적용 팁 (Notion 기준)
- Notion 내에 PARA 상위 카테고리 페이지 생성
- 각각
Projects
,Areas
,Resources
,Archives
페이지 생성 - 프로젝트 별 DB를 만들어 다양한 문서, 미디어, 회의록, 요청사항 등 연결
- 완료된 프로젝트는
Archives
로 이동 (Linked DB view로 자동화 가능)
🧪 실제 적용 예시
고객 A사 AI 추천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
Projects > 고객 A사 AI 추천 시스템
- 회의록
- 요구 사항 정리
- API 스펙
- 데모 영상
- 관련된 유지 보수는
Areas > 고객사 커뮤니케이션
- 참고 리서치는
Resources > AI 추천 기술 정리
- 완료 시 전부
Archives
로 이동
✅ 결론
PARA 방식은 복잡한 협업 환경, 다중 프로젝트 운영, 지속적인 업무 분류를 보다 명확하고 빠르게 정리할 수 있는 효율적인 프레임워크 입니다.
기존 방식과 병행하면서 점진적으로 도입 가능하며, Notion, Google Drive, Obsidian 등 대부분의 도구에서 쉽게 구현 가능합니다.
도입을 통해 협업 효율과 정보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.